실손보험료, 2024년부터 평균 1.5% 인상
앞서 금융당국과 보험업권은 자동차·실손보험 등 보험료 부담 경감, 보험계약대출 이자 부담 완화, 소비자 편익 제고 등을 골자로 하는 상생금융 방안을 마련했는데요.
따라서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는 18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(보험료 기준 가중평균)이 약 1.5%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밝혔습니다.
이는 2022년 약 14.2%, 작년 약 8.9% 인상된 것보다 크게 낮아진 수치입니다. 수치 상으로는 인하되었지만 실제 내야하는 비용으로 보았을 때는 상승이지만 인상 폭이 적어졌다는 결론입니다.
1.내년 실손보험료가 최소 인상률 수준인 평균 1.5% 오를 예정.
2.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로 실손보험 손해율이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지만, 보험사들이 상생금융의 일환으로 내놓은 방안.
3.보험사들은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자동차보험료는 평균 2.5% 정도 인하할 예정.
왜?
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.2%로 작년(118.9%)보다 상승했습니다. 이 중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작년 131.4%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156.6%로 뛰었구요. 손해율이 100%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.
협회는 "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으로,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이 아니다"라며 "가입상품의 갱신주기·종류·연령·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
내년의 경제 상황이 보험권과 금융 당국의 노력으로 좀 더 나아지길 기대해보며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